-
30년 동안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일본 그 이유는?아는만큼보인다 2022. 2. 9. 10:47728x90반응형
한국과 대만의 GDP가 곧 추월할 수 있다는
일본 내부 분석도 있다고 한다.
전 세계 일류 국가였던 일본이 왜 이렇게 오랫동안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할까?
출처: 지식한입
일본 정부의 GDP 대비 채무비율(882%)은 선진국 최악 수준
출처: 지식한입 그래도 여전히 부러운 건 세계 캐릭터 IP 수익 순위 1위, 2위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그럼 왜 30년 동안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었냐?
버블경제가 꺼지면서
신자유주의가 트렌드가 되던 시절
관세 없이 저렴한 수입품들이 들어오면서
일본 제품들의 가격에 압박을 가했다고
(그렇게 전체 물가를 낮추게 됐다.)
반응형수입품이랑 가격 경쟁을 해야 되다 보니까
기업과 정부가 나서 인건비를 까고 + 인건비가 싼 비정규직을 늘려주면서
국민들이 전보다 돈을 못 벌게 되었다.
물건을 더 안 사니까 물가는 더 안 오르고...
(수출을 키운다고 거의 내수를 버린 셈)
그런 데다가 기업성과는 떨어지고..
출처: 지식한입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로금리도 누구보다 빠르게 시작한 일본
국고 털어 공공사업도 많이 했다고..
고령화되면서 연금 받는 연령층은 늘어나고
(국가부채 문제 고착화)
일본 만의 이야기가 아닌 것 같다.
일본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을 위해
법인세율은 낮게 책정하고
일반 개인 소비자들이 내는 세금을 올렸다고 한다.
여기에는 또 정치적인 이유도 있다고 (정경유착 그 이상일 듯)
결국 디플레이션
젊은 층은 결혼도 안 하고 애도 안 낳고 인구는 감소하고
출처: 지식한입 일본 최대 수출국가는 미국
최대 수출 품목은 소재, 부품, 장비
(중국 다음으로 많은 소, 부, 장을 공급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강한 편
문제는 일본 대기업이 완제품에서 죽 쑤고 있다는 것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1989년 vs 2021년)
기술력이 너무 좋은 게 문제
기술을 너무 믿고 의지했다.
시대와 수요의 변화에 맞추려는 (파는) 노력을 막았다는 것
정부가 지나치게 보호한 이유도 있다.
(기업 NTT를 밀어줬다!)
출처: 지식한입 그래도 놀라운 일본인 게
대외순자산 순위가 1위라는 것
돈 많이 벌 때 이것저것 돈 되는 건 다 샀다.
728x90반응형'아는만큼보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리밍 때문에 흥행 실패”…매트릭스 제작사, 워너에 소송 (0) 2022.02.11 유퀴즈온더블럭 141회 '재야의 고수'편 설악산 마지막 지게꾼 임기종님 (0) 2022.02.10 IT 전문가들이 메타 주가 폭락 원인으로 애플을 지목한 이유 (0) 2022.02.08 나혼자산다 차서원 낭만또라이 등극 학력 사는 곳 본명 공개 (0) 2022.02.07 작품 한 편에 포스터만 30종류? 넷플릭스는 왜 이럴까 (0) 2022.02.04